갑상선은 목 앞쪽에 위치한 나비 모양의 내분비기관으로,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갑상선 호르몬을 분비합니다. 이 호르몬은 체온 유지, 에너지 생성, 심장 박동, 체중 유지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갑상선 기능에 문제가 생기면 저하증 또는 항진증이라는 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갑상선 기능 저하증(Hypothyroidism)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갑상선이 충분한 갑상선 호르몬을 생산하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주로 자가면역 질환인 하시모토 갑상선염이 원인입니다.
주요 증상
- 피로감, 무기력증
- 체중 증가
- 추위에 민감함
- 건조한 피부, 탈모
- 우울감, 기억력 저하
- 월경 불순
원인
- 하시모토 갑상선염(자가면역질환)
- 갑상선 수술 또는 방사선 치료 후유증
- 요오드 결핍 또는 과다
치료 방법
갑상선 호르몬제(레보티록신)를 매일 복용하여 부족한 호르몬을 보충합니다. 꾸준한 약물 복용과 정기적인 혈액검사가 필요합니다.
2. 갑상선 기능 항진증(Hyperthyroidism)
갑상선 기능 항진증은 갑상선이 과도하게 호르몬을 분비하는 상태로, 신진대사가 비정상적으로 빨라집니다. 대표적인 원인은 그레이브스병(Graves' disease)입니다.
주요 증상
- 심장 두근거림, 불안감
- 체중 감소
- 손 떨림, 땀이 많음
- 더위에 민감함
- 불면증, 과민성
- 눈의 돌출(그레이브스병의 경우)
원인
- 그레이브스병(자가면역질환)
- 갑상선 결절 또는 종양
- 일시적 갑상선염
치료 방법
- 항갑상선제: 과다한 호르몬 생산을 억제
- 방사성 요오드 치료: 갑상선 세포를 파괴
- 수술: 약물 효과가 없거나 재발 시 시행
3. 진단 방법
갑상선 기능 이상은 혈액검사를 통해 진단됩니다. 주로 TSH(갑상선자극호르몬), FT4(유리 갑상선호르몬) 수치를 측정합니다. 필요시 초음파, 자가항체 검사도 병행할 수 있습니다.
4. 생활 관리 팁
- 정기적인 혈액 검사로 호르몬 수치 모니터링
- 복약 시간은 매일 같은 시간, 공복에 복용
- 요오드 섭취는 의사의 지시에 따라 조절
- 스트레스 관리와 규칙적인 생활 습관 유지
5. 마무리
갑상선 기능 저하증과 항진증은 현대인에게 흔하게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다행히도 조기 진단과 꾸준한 치료를 통해 대부분 잘 관리할 수 있습니다. 만약 설명된 증상 중 몇 가지가 지속된다면 가까운 내분비내과를 찾아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